Coding/TIL & 배운것들
Django 프로젝트 시작하기!
코딩짜는 머글
2024. 12. 16. 12:47
'프로젝트를 시작한다는 것'은 '하나의 프로그램을 만들기 시작한다'는 의미이다.
과정
- 가상환경 생성
- 가상환경 활성화
- Django 설치
- 의존성 파일인 requirements.txt생성
프로젝트 생성
django-admin startproject <프로젝트 이름> <생성 디렉토리>
여기서 생성 디렉토리를 생략하면 현재 위치에 프로젝트 이름의 폴더가 만들어지면서 생성된다.
django-admin startproject <프로젝트 이름> .
( . ) 은 현재 폴더를 의미하며 현재 폴더를 프로젝트 폴더로 사용해서 생성된다.
cd <폴더 이름>
폴더 안쪽으로 이동
서버 실행
python manage.py runserver
로켓이 보이면 성공했다는 뜻이다.
- settings.py : 프로젝트의 설정을 관리하는 곳
- urls.py : 어떤 요청을 처리할지 결정하는 곳
- __init__.py : 하나의 폴더를 하나의 파이썬 패키지르 인식하도록 하는 파일 -> python 3버전 이상으로 가면 없어도 된다. 하지만 3버전 이하에서도 동작 하도록 호환성을 위해 지키는 규칙!
- wsgi.py : 웹 서버 관련 설정 파일
- manage.py : Django 프로젝트 유틸리티 (조종기)
Django 앱(App)
내가 생각하는 하나의 기능 덩어리
하나의 프로젝트는 여러개의 앱으로 구성될 수 있다(하나의 앱으로 모두 개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여러개의 앱으로 나누어 개발하는것이 권장된다).
프로젝트(Project) : 어플리케이션의 집합체
앱(App) : 각각의 기능 단위 모듈
앱을 사용하기위해서는 먼저 app을 생성하고 등록하는 과정이 필수이다.
앱(App) 생성
python manage.py startapp <앱 이름>
(Django에선 앱 이름을 복수형이르 짓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.)
앱(App) 등록
- settings.py 로 이동
- INSTALLED_APPS 부분에 생성한 앱을 등록(앱 이름만 적어주면 된다.)
- admin.py : 관리자용 페이지 관련 설정
- apps.py : 앱 관련 정보 설정
- models.py : DB관련 데이터 정의 파일
- tests.py : 테스트 관련 파일
- views.py : 요청을 처리하고 처리한 결과를 반환하는 파일
Trailing commas : 마지막에 콤마를 붙여주는 것. 다음에 추가할 일이 있을 때 편리하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