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Coding/TIL & 배운것들

인공지능을 위한 파이썬 1주차 & 2주차

by 코딩짜는 머글 2024. 9. 30.

인터프리터    컴파일러        ---->   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중간에 오류가 생길때 인터프리터는 정상적으로 처리한 윗부분은 정상 처리가 되지만

컴파일러는 전체가 실행되지 않는다.

   한줄씩           한번에           ---->

 

 

파이썬은 사람에 가까운 언어

 

저수준: 컴퓨터에 가까운 언어

 ->단점 : 사람이 이해하기 굉장히 어렵다, 간단한 논리를 작성하는데도 굉장히 오래걸린다.

고수준: 사람에 가까운 언어

->단점: 사람에 가까울수록 실행속도가 느리다

 

데이터 타입 

숫자형 : 정수형(int)와 실수형(float)가 있다. (복소수형(complex)도 있지만 잘 사용되지 않음)

컴퓨터는 소수정확하게 표현하는 게 불가능. 소수에 대한 연산을 할때는 주의

문자형(str) : 기본적인 문자, 단어, 문장이 포함된다.

불리언(blooean) : True or False 을 나타내는 데이터

 

데이터 타입 변환

명시적 변환 : 프로그래머가 직접 타입 변환 함수를 써서 타입을 바꿔주는 것

암시적 변환 : 개발자가 의도하지 않은 타입 변환이 발생할 수 있어서 최대한 암시적 변환이 발생하더라도 그 전에 명시적으로 적어주는게 좋다. 

int() : 정수로 변환시켜준다. 실수를 정수로 변환할 때 소수점 이하의 값이 손실될 수 있다.

float() : 실수로 변환시켜준다

str() : 문자열로 변환시켜준다

bool() : 불형으로 변환시켜준다


컬렉션 타입 변환하기 

 
 # 문자열을 리스트로 변환
 a = "hello"
 b = list(a)
 print(b) # ['h', 'e', 'l', 'l', 'o']

 # 리스트를 튜플로 변환
 c = [1, 2, 3]
 d = tuple(c)
 print(d) # (1, 2, 3)

 # 리스트를 셋으로 변환 (중복 제거)
 e = [1, 2, 2, 3, 4]
 f = set(e)
 print(f) # {1, 2, 3, 4}

 

list에서  -(마이너스) 부호를 넣으면 가장 뒤에서부터 데이터를 뽑아올수 있다. ---> -1 = 가장뒤에 있는 데이터 부터 순차적으로...

set 은 중복 데이터를 알아서 없애준다.

 

변수

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, 공간에 이름을 써줘서 다시 값을 불러올 수 있게 한다.

변수의 선언을 위해서는 파이썬에서는 별도의 키워드를 적어주지 않아도 된다.

값을 할당해 주려면 대입 기호를 사용해 주면 되는데, 수학에서의 부등호 와는 차이가 있다.

변수는 몇 가지 이름 규칙이 있는데 파이썬에서 문법적으로 강제되는 규칙이 있고 그에 반해 사용이 편하도록  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몇 가지 추천되는 규칙들이 있다.

변수는 메모리의 데이터를 저장한다.

간혹 값을 넘어가면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할 수 있어서 주의를 해야 되는데 다른 언어는 그 값의 범위가 상당히 좁지만 파이썬은 굉장히 커서 사용시 주의사항이 좀 덜하다.

변수가 만들어진 위치에 따라 다른 위치에서 접근할 수 없을 수도 있어서 주의

 

 

산술 연산자 : 기본적인 수학 연산을 수행하는 데 사용됨.

 
 a = 10
 b = 3

 print(a + b) # 13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덧셈
 print(a - b) # 7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뺄셈
 print(a * b) # 30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곱셈
 print(a / b) # 3.3333...              나눗셈
 print(a % b) # 1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나머지
 print(a ** b) # 1000                   거듭제곱
 print(a // b) # 3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몫  

 

비교 연산자 : 두 값을 비교하여 참(True) 또는 거짓(False) 을 반환합니다.

 
 x = 10
 y = 5

 print(x == y) # False     값이 같음
 print(x != y) # True        값이 다름
 print(x > y) # True         큼
 print(x < y) # False        작음
 print(x >= y) # True       크거나 같음
 print(x <= y) # False      작거나 같음
 

 

논리 연산자 : 논리값(True, False) 을 결합하여 새로운 논리값을 반환합니다.

 
 a = True
 b = False

 print(a and b) # False      두 조건이 모두 참일때
 print(a or b) # True           두 조건 중 하나라도 참일때
 print(not a) # False           논리값을 반대로 뒤집음
 

 

대입 연산자 :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 사용합니다.

 
 x = 10
 x += 5 # x = x + 5            기본적인 구조는 논리연산자와 동일
 print(x) # 15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+=, -=, *=, /=, %=, **=, //=

 x *= 2 # x = x * 2
 print(x) # 30

 x //= 3 # x = x // 3
 print(x) # 10
 

 

비트 연산자 : 이진수(bit) 수준에서 연산을 수행합니다.

 
 a = 5 # 이진수로 101
 b = 3 # 이진수로 011

 print(a & b) # 1 (이진수 001)
 print(a | b) # 7 (이진수 111)
 print(a ^ b) # 6 (이진수 110)
 print(~a) # -6 (이진수 보수)
 print(a << 1) # 10 (이진수 1010)
 print(a >> 1) # 2 (이진수 010)
 

비트 연산자는 이진수를 잘 알지 못하면 어렵다....이진수 공부는 필수!

 

멤버십 연산자 : 특정 값이 시퀀스(문자열, 리스트, 튜플 등) 에 속해 있는지 확인함

 
 fruits = ["apple", "banana", "cherry"]

 print("apple" in fruits) # True               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
 print("grape" not in fruits) # True        값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

 

식별 연산자 : 두 변수가 동일한 객체를 가리키는지 확인함

 
 x = ["apple", "banana"]
 y = ["apple", "banana"]
 z = x

 print(x is z) # True (z는 x를 가리킴)
 print(x is y) # False (x와 y는 내용은 같지만, 다른 객체)          두 변수가 동일 객체인지 확인
 print(x == y) # True (x와 y는 값이 동일함)
 print(x is not y) # True (x와 y는 다른 객체)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두 변수가 동일하지 않은 객체인지 확인
 

 

 

연산자 : 특정 연산을 수행하는 특수 기호들을 말함

값을 바꿀수 있는 것: 변수

바꿀 수 없는 것 : 상수 

예약어 :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어이 단어들은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

 

 1 = True

 0 = False

 

 

 

 

 

'Coding > TIL & 배운것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이진법에 대하여...  (1) 2024.10.02
인공지능을 위한 파이썬 3주차 & 4주차  (3) 2024.10.01
(Python) NumPy 란  (1) 2024.09.25
(Python) pandas 란  (0) 2024.09.25
python이란  (1) 2024.09.23